본문 바로가기
경제

직장인 73% 청탁금지법 이후 식사 접대 감소했다는데...

by successmylife 2016. 11. 2.

“50% 이상 줄었다” 48.6% 응답 / 대신 가족과 식사기회 많이 가져

직장인들은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식사 접대 대신 가족과의 식사 기회를 많이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이 빵, 떡 등 간편한 식품의 소비를 늘리면서 외식업과 농수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전국 직장인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일 밝혔다. 응답자 중 73.6%는 청탁금지법 시행 후 식사 접대 횟수가 감소했다고 답했다. 접대 횟수가 법 시행 이전보다 50% 이상 감소했다는 응답이 48.6%로 가장 많았다. 40~50% 미만 감소했다는 응답은 13.2%, 30~40% 미만은 8.2%에 달했다.


식사 접대 시 1인당 평균 금액은 법 시행 이전에 3만~5만원 미만이 37.0%, 5만원 이상이 33.6%로 3만원 이상이 전체의 70.6%를 차지했으나 법 시행 이후에는 24.9%로 크게 낮아졌다. 3만원 미만의 식사 접대 비중은 법 시행 전 29.4%에서 시행 후 64.5%로 늘었고, 식사 접대가 전혀 없었다는 응답도 10.6%로 나타났다.


접대 횟수가 줄면서 가족과 밥을 먹는 비중은 37.3%에 달했다. 직장이나 직장 주변에서 식사하는 비중도 34.4%로 뒤를 이었고 배달, 포장음식, 도시락 등 즉석식품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사람도 5.9%였다.


접대가 감소함에 따라 지출이 늘어난 것은 간편 대용식·즉석식품(19.3%), 빵·떡·과자(17.3%) 등 간편한 식품 종류로 집계됐다.


이용선 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직장인 식사 접대 수요 위축은 일부 외식업종은 물론 농수산업에 대한 위협 요인”이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업계의 자구 노력과 정부의 지원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반응형